변호사 컬럼

성추행무고죄 무혐의 판결이 난다면 고소 할 수 있나요?

1. 성추행무고죄 정의

무고죄는 피해자의 신고가 허위인 경우 그것을 고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무고한 사람이 불합리하게 처벌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성범죄를 저지르지 않았으나 처벌을 받게 할 목적으로 고소를 한 경우 수사기관에 피해사실을 허위로 신고하여 무고한 사람이 처벌받는 것을 막기 위함입니다.

2. 가짜 피해자로 인한 진짜 피해자

성추행을 당했다고 허위로 신고하여 사회적으로 매장시키고 당사자는 시간과 돈을 들여 겨우 해당 혐의를 벗어나오더라도 완전한 회복이 힘들어지게 됩니다.

물론 성범죄를 저지른 경우 당연히 법적 처벌을 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단순 악의만으로 고소를 하게 된다면 가짜 피해자로 인한 진짜 피해자가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3. 성추행무고죄 모두 성립하는 것은 아냐

법적으로 성추행 무고죄가 처벌받기 위해서는 신고자의 의도가 중요합니다.

의도가 악의적인 것이 아닌 범죄가 일어났다고 오해한 경우, 그 신고자를 무고죄로 처벌하기는 어렵습니다.

다시말해 피해자가 오해로 성추행을 당하였다고 생각하여 고소를 한 경우 무혐의를 받았더라도 성추행무고죄 고소가 힘들다는 것입니다.

4. 성추행무고죄 고소가 가능한 경우

실제로 성추행을 하지 않았으나 단순 악의나 전 애인에게 복수하기 위해서 등 성추행을 하지 않았으나 성추행을 하였다고 하는 경우에는 무고죄로 고소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고죄로 처벌을 받게 하는 것은 무혐의를 받는 것보다 훨씬 힘들기 때문에 여러 요소들을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5. 성추행 무고죄로 고소를 받았을 때 대처 방법

5.1. 상황 파악하기

먼저 혐의를 파악하고 현실적인 범죄 사실이 없다면 이를 입증할 증거를 모아야 합니다. 시간을 준비하고 변호사와 상담하여 대응 계획을 세워야합니다.

5.2. 진술 일관성 유지

경찰 조사에 참여할 때는 말을 명확하고 일관성 있게 해야합니다. 진술을 준비하고 연습하여 주장을 분명하게 전달해야하며, 감정적으로 흥분하지 않도록 주의해야합니다.

5.3. 침착하게 대응하기

수사관과의 대화에서는 침착함을 유지해야합니다. 수사관이 자신을 범죄자로 몰아갈지도 모릅니다. 대화를 통해 억울함을 증명하기 위해 준비된 자료와 논리적인 주장을 전달해야합니다.

5.4. 전문가의 도움

상황이 복잡하거나 억울함을 입증할 증거가 부족한 경우 변호사나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합니다. 변호사를 선임하여 법률적인 지식과 경험을 활용해야합니다.

6. 성추행무고죄의 사회적 영향

성추행 무고죄와 허위 고소는 무심코 저지르는 행위가 아닙니다. 이로 인해 무고한 사람이 심각한 상처를 입을 수 있고, 피해자의 명예와 직업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사회적으로도 이러한 사례가 증가하면, 실제 성범죄 피해자들이 미흡한 지원을 받을 우려가 있습니다.

7. 결론

성추행 무고죄 그리고 허위 고소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무고한 사람이 억울하게 처벌받지 않도록 법적 대응 및 대처 방법을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 글은 무고죄와 법적 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해 잘 알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성추행 무고죄와 허위 고소의 문제를 알려주는 이 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Scroll to Top